10. 하데스타운 [돌문예]

2022. 5. 30. 22:46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 처음으로 뮤지컬을 보고 왔다. 수업 덕분에 그리스 신화에 관심도 생겼는데 부산에 하데스타운이 공연한다고 해서 기쁜 마음으로 예매했다. 

 

내가 본 회차의 캐스트

 

 

뮤지컬 하데스타운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의 이야기를 재해석해서 뮤지컬로 만든 작품이다.

 

 

신화에서의 님프 에우리디케와 달리, 뮤지컬 속 에우리디케는 항상 굶주림을 겪던 바람 따라 떠도는 여인이다. 요리사로 일하는 가난한 음악가 오르페우스는 에우리디케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던 중 봄과 여름에 지상에 나와 싹을 틔우고 꽃을 피우는 페르세포네가 하데스 때문에 아주 잠깐 지상에 왔다가 다시 하데스타운으로 돌아가게 된다. 하데스타운은 점점 공업화되어가고 지상보다 더 밝고 더워졌다며 페르세포네는 "이건 정말 정상 아니야"라며 한탄하며 술독에 빠진다. 하데스는 계속 공업화되는 지하의 모습은 페르세포네를 향한 그리움과 사랑으로 만든 것이라 말한다.

 

 

페르세포네가 일찍 하데스타운으로 돌아가 봄과 여름이 사라져 더욱 살기 팍팍해진 지상에서 봄을 다시 불러오기 위해 오르페우스가 노래를 만든다. 그 사이 에우리디케는 풍족하게 살게 해 준다는 하데스의 꾀임에 넘어가 하데스타운으로 가는 기차에 타게 된다. 신화의 내용과 같이 오르페우스는 에우리디케를 찾으러 하데스타운으로 떠난다. 하데스와 페르세포네 앞에서 그가 만든 노래를 부른다. 오르페우스가 만든 그 노래는 사실 하데스와 페르세포네가 사랑에 빠졌을 때 불렀던 노래였고, 오르페우스의 노래를 계기로 하데스와 페르세포네는 춤을 추며 관계를 회복한다.

 

 

오르페우스의 노래에 감동했지만, 그래도 지하의 법칙을 거스르게 할 수 없는 하데스는 지상에 도착하기 전까지 뒤를 돌아보지 말라는 금기를 걸고 오르페우스와 페르세포네를 보내준다. 하지만 그 결말은 우리 모두가 아는 것처럼 끝이 난다. 오르페우스는 운명의 세 여신의 부추김에 뒤를 돌아보게 되고, 오르페우스 뒤에 있던 페르세포네는 다시 지하로 가게 된다.

 

 

극 중에서 나레이터 역할인 헤르메스가 이렇게 노래한다.

아주 오래된 사랑 이야기와 슬픈 노래는 이렇게 흘러가지.
중요한 것은 결말을 알면서도 다시 노래를 시작하는 것. 이번엔 다를지도 모른다고 믿으면서.
내 친구에게 배운 교훈이죠.

 

 

그리고 다시 뮤지컬의 첫 부분이 반복되며 끝난다.

 

 

 

 

뮤지컬에서 나오는 산업화된 하데스 타운 그리고 하데스의 노래에서는 현대 자본주의의 냄새가 물씬 났다. "가난이 우리의 적. 못 가진 사람들은 우리 것을 탐하지. 우리 자유롭기 위해서 벽을 높이 쌓는다."는 노랫말에서도. 고전을 재해석해서 지금 현실세계의 문제를 고발하는 것도 흥미로웠다.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의 이야기는 신화에서도 뮤지컬에서도 결국은 비극이다. 하지만 헤르메스의 말처럼 중요한 것은 희망을 잃지 않는 것이라 생각한다. 감히 산 사람이 지하세계에 연인을 찾으러 가는 것을 누군가는 어차피 실패할 것이라 시도조차 하지 않겠지만 그러는 이에게는 기회조차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뮤지컬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넘버인 Epic III

+ Recent posts